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주식

OTC마켓 재상장 꿈꾸는 기업들 가능할까?

by 달달한파이프라인 2023. 6. 26.

OTC 마켓은 비공개 시장으로 주식 거래소 외부에서 비상장 기업의 주식을 거래하는 작은 규모의 시장이다. 주식 거래는 전화나 전용 앱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보의 불투명성과 주식 유동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OTC 마켓 제목이 담긴 배너

 

개념

OTC(Over-the-Counter) 마켓은 거래가 주식 거래소 외부에서 진행되는 비공개 시장을 말합니다. 이는 주식이 공개적인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의 주식을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OTC 마켓은 공개 시장에 비해 규모가 작지만, 주식 거래의 유동성을 높이고 다양한 종목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1) OTC

주식 거래가 공개적인 거래소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비공개 시장을 의미합니다. OTC 마켓은 공개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의 주식을 거래하는 곳으로, 대형 거래소인 NYSE나 나스닥에 상장되지 않은 비상장 주식들을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OTC 마켓은 비교적 규모가 작지만, 주식 거래의 유동성을 높여 다양한 종목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시장에서는 10000개 이상의 주식이 장외거래되고 있습니다.

(2) K- OTC

KOTC는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장외주식시장으로,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보의 불투명성과 주식유동성이 낮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매매 거래는 매도호가와 매수호가의 가격이 일치할 때 체결되며, 주식의 정보 확인은 KOTC 사이트에서 가능하고 실제 거래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장내시장과 비교했을 때 주식의 거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동작원리

 

전자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는 주식 거래소와는 달리, OTC 마켓에서는 주로 전화나 전용 앱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투자자는 OTC 거래를 지원하는 증권사에 주문을 전달하고, 해당 증권사는 거래 상대방을 찾아 일정 가격과 거래 조건에 따라 거래를 완료합니다.

 

주식의 가격과 거래 조건은 거래 상대방과 협상을 통해 결정되며, 중개인이 거래를 성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OTC 거래는 공개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공개적인 특성을 가지며, 비상장 기업의 주주나 투자자들이 OTC 마켓을 통해 주식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단점

장점

OTC 마켓이 상장 기업이 아니더라도 투자 기회를 제공하여 다양한 비상장 기업이나 신생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OTC 마켓에서는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종목이 많아 개인투자자에게 다양한 선택 폭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단점

OTC 마켓이 주식 거래소에 비해 정보의 투명성이 낮을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개 시장에 비해 OTC 마켓의 기업 정보가 제한적이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거래의 유동성이 낮을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으며, 주식 가격의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가 높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주식시장과 차이점

 

OTC 마켓과 주식 거래소의 가장 큰 차이점은 주식의 상장 여부입니다. 주식 거래소는 이미 상장된 기업들의 주식을 거래하는 공개적인 시장이며, 상장 절차와 규제를 거쳐 상장 기업들만이 거래됩니다. 반면 OTC 마켓은 상장되지 않은 기업들의 주식을 거래하는 비공개적인 시장입니다.

 

주의사항

정보 불투명성: OTC 마켓은 공개 시장에 비해 정보의 투명성이 낮으므로, 기업의 신뢰성과 잠재적인 리스크를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유동성 리스크: OTC 마켓은 거래의 유동성이 낮을 수 있으므로, 주식을 매도하거나 매수할 때 거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OTC 마켓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주가의 변동성이 크고 리스크가 높을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자신의 투자 목표와 리스크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합니다.

Q&A

 

Q1. K-OTC와 코넥스시장 차이점?

K-OTC 시장과 코넥스시장은 비상장주식을 다루지만, 상장 요건과 운영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K-OTC 시장은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감사인의 감사의견, 자본전액잠식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전체적으로 비교적 자율성이 높은 장외주식시장입니다.

반면, 코넥스시장은 자기 자본, 매출액, 순이익 중 하나의 조건만 충족하면 상장이 가능하며, 초기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자본시장입니다. 코넥스시장은 기술력 우수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Q2. K-OTC 규모는?

K-OTC 시장은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설립한 장외시장으로, 비상장 중소/벤처기업의 주식 매매를 원활하게 하여 자금 조달을 지원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시장에는 총 141개의 종목이 상장되어 있으며, 시가 총액은 22조 원으로 장내시장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Q3. 상폐된 주식이 OTC마켓에서 다시 재상장할 수 있을까?

상폐된 주식은 OTC 마켓에서 일부가 거래될 수 있지만, 재상장 여부는 회사의 상황과 여러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기업은 재상장을 고려할 경우 상폐 사유를 해소하고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재정 개선, 내부 관리 체계 강화, 투명성 확보 등의 조치를 취하고, 관련 규정과 절차를 준수하여 상폐 해제를 신청해야 합니다. 재상장 여부는 각 국가의 주식 시장 규정에 따라 결정되며, 주식 거래소나 규제 기관의 판단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개별적인 사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합니다.